본문 바로가기
2. 인간 인생 탐구

거인의 노트, 꿈을 현실로 만드는 법

by 키다리 가로등 2023. 8. 2.
반응형

(잘못 큰글씨책을 상호대차 신청하여...책이 제목처럼 엄청 컸어요 ^^;;)

거인의 노트

_2023 김익한
 
나는 간절히 성장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공부, 대화, 생각, 일상, 일의 다섯 영역에서 '기록, 반복, 지속'의 3단계를 실천하라고 말한다. 
 
공부, 대화, 생각을 기록하면 '지식'이 된다. 그런 지식(원석)을 반복하다보면 자기화(보석) 되고, 그게 습관화 되면 성장형 인간이 되어 인생이 달라진다. 

 

[인생을 성장시키는 방법]

1. 기록하라(정리, 요약)
2. 반복하라(자기화, 분류 및 업그레이드)
3. 지속하라
 
기록형 인간이 되면 매우 똑똑해진다.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든 그 삶의 과정을 통해 엄청난 자산이 당신의 몸과 마음과 머리에 쌓여있다. 이제 당신안에 잠든 자산을 깨워보라. 
기록이 쌓이면 아이디어가 된다.
생각하기를 포기하지 마라.
그러면 아이디어 뱅크로 거듭날 것이다. 
 
방법을 알아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깨달음 만으로 변화를 기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이제 겨우 출발선에 서게 되었다는 뜻이다. 
공부에는 때가 없다. 오히려 살아온 지혜가 무르익었을 때 하는 공부는 성장의 폭을 획기적으로 넓혀준다. 
 

[메모하는 법]

 
'메모해두고 나중에 봐야지'라고 생각한 순간 기억을 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잘못된 메모이다. 잘 기억하려면 '기록하고, 되뇌고, 말해야' 한다. 기억하지 않기 위해 쓰는 메모/ 생각하지 않은 메모(=베껴쓴 메모)/ 재활용하지 않는 메모는 잘못된 메모이다. 
 
책을 읽다가, 대화를 하다가도 어떤 생각이 나면 메모해 두자.
요약, 요약 재정리, 입 밖으로 소리내어 발표하기 3단계를 거치면 온전히 당신 것이 된다. (자기화)
 

[성장의 조건]


→ 계획과 미친 지속성.
자신의 목표, 일상, 습관을 적어보고 이 3가지를 일치시켜라. 그리고 지속해라.
 
오늘 업무내용에 대해 기록했다면, 내일은 업무에서 느낀점을 기록하자. 다음날은 업무에서 느낀점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추가해서 써라.
모든걸 다 하려고 하기보다 당장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하자. 작은 습관을 반복하면 인생에 걸친 큰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과정들이 모여 당신만의 성장 메커니즘과 시스템이 완성된다. 
 

[생각하는 힘 기르기]

1. 반복적으로 되뇌기 (바둑의 복기같은)
이 때 측두 연합영역의 장기기억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2. 생각 이어가기 (분류하거나 순서대로 생각)
3. 글로 쓰기 (목표, 분류/시간별 계획)
미래에 대해 그리다 보면 상당부분 현실로 다가온다. 영화보듯이 연상하면서 글로 작성하라.
 
일본 뇌과학자 모기 겐이치로는 [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에서 "장기기억은 측두연합 영역에 보존되고, 단기기억은 전두엽에서 작동하는데 아무리 많은 장기기억을 측두연합 영역에 저장한다 하더라도, 전두엽으로 끌어내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훈련을 하지 않으면 활용할 수 없다. 

 

[인생을 되돌아보고, 진짜 욕망을 실현하는,

나다운 삶을 찾기위해 제안하는 기록법]

 
1. 내가 현재 바라는 것 적기
일주일간 반복하여 적어보자. 이틀만 지나도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이 크게 달라지는 경험을 할 것이다. 
2. 아래 3가지를 적어보고 비교해보면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 수 있다. 자유는 이렇게 시작된다. 
① 나에게 가면을 씌우는 페르소나의 항목들
② 부모, 배우자, 자녀, 직장, 사회 그들이 나에게 바라는 것
③ 내가 애쓰고 있는것
 
삶이 바빠서, 가족을 위해, 체력이 안돼서 등의 이유로 욕망을 참고살면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낼 수 없는 마이너스 관성이 작동하게 된다.
인생의 본질은 자유를 찾는 과정이다. 자전거, 운전을 하는 것도, 영어를 하는 것도, 내 자유의 영토를 넓히는 것이다. 
내가 못하는 것을 20개 정도 적어보자. 뭘 못하는지 알아야 극복도 가능하다. 그 중 가장 잘하는 것부터 시도를 해보고, 그 발전과정도 정리해 보자. (운전, 영어, 웹디자인, 자전거, 코딩 등등...)
 

[나를 알아가는 기록 연습]

 
자기 역사 쓰기
자기 역사연표를 작성해 보자. 기록할 일이 별로 없으면, 셀프 인터뷰를 하면 된다.(휴대폰 녹음)
 

[거인의 기록법]

 
1. 요약법: 키워드 메모 (최대한 짧은 말로 압축한다)
유튜브 영상을 한 편 봤다면 키워드 2개만 뽑는다. 책도 마찬가지. 나머진 다 버려도 된다. 버리것도 용기다. 3일만 해봐라. 재능 필요없다. 하다보면 는다. 키워드 메모를 하고 재요약 하는 것은 지식의 자기화 과정이다. 
책을 자기화 하려면, (눈에 들어오는 것, 마음 가는 것 위주로 읽다가) 키워드 위주로 메모를 하고, 키워드를 요약하여 독서노트, 독서카드에 기록 하면 된다. 
 
*짜깁기와 요약의 차이 : 짜깁기는 베껴쓴것을 편집한 것이고, 요약은 키워드만 적어 나의 생각과 나의 언어로, 자기식으로 편집한 것이다. 편집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게 된다. 
 
2. 분류법: 여러가지 측면에서 분류해보자. 아래처럼 분류하여 생각을 기록하면 고민의 답이 보인다. 
고민이 생긴 배경, 고민을 발생시킨 원인, 이 고민을 어떤 방향으로 풀것인가를 적어보자. 
 

[기록을 즐겁게 만드는 도구들]

예쁜 다이어리나 노트, 수첩, 형광펜, 부드러운 볼펜, 만년필 등등..
 

[무의식은 어떻게 기록?]

지금상황, 감정, 과거경험 3가지만 기록하면 된다. 
무의식에 어떤 두려움이 있다면, 적어보는 것만으로 나아진다. 
 

[일상을 기록하기]

내 머리 위에 나의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을 들여다 보자. 
일상을 기록할 때 타자의 관점에서 '내가 뭐했지'라고 생각해 보는 것이다. 심지어 나는 마치 나를 남 대하듯 '익한이가 아침에 뭘했지?'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역시 짧게 키워드는 쓰는 게 좋다. 
일상의 작은 이야기, 감정, 감각(오늘따라 다르게 다가오는 느낌) 등을 기록하면 팔리는 콘텐츠가 될 것이다. 
 
플래너를 쓰는 궁극적인 목적은 [내 하루를 연상해 보기 위함]이다. 
내 삶의 핵심(꿈)과 오늘 하루의 핵심(일정), 이 두가지를 매일 아침 챙기자 .기록의 루틴이 잡힌 사람은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나의 한 달을 관리하면, 일 년이 달라진다. (월간 다이어리 목표는 주간으로 설정) 매달 성취감을 느끼며 내 삶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1년 후 인생의 반전이 일어날 것이다. 
 

[관심가는 책]

[거꾸로 읽는 세계사], [백만장자 시크릿]
*백만장자 시크릿은 내적성장에도 좋다고 한다. 
 
 

[마무리]

 
책을 읽고, 저도 목표/일상/습관을 적어보고 나의 연표를 적어보고, 내 목표를 분류해 보고, 나의 취향, 습관들을 적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적다보니 점점 더 구체화 되더라고요. 

연상해서 기록하는 것, 내 머리위에서 나를 내려다보고 기록하는 것_ 이 부분이 와닿았어요.
미래도 그냥 생각하는 게 아니라 구체적 이미지로 연상해보기!
내 자신을 객관화 하여 계획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지요.

[키워드 메모]하니까 기생충 봉준호 감독을 통역했던 분이 생각나네요. 늘 수첩을 들고다니며 키워드만 메모해서 통역하시던 분.
 
저는 쓰는 걸 좋아합니다. 한글뿐만 아니라 한자쓰는 것도 어릴적부터 좋아했어요. 펜이 부드럽게 흐르는 그 느낌을 즐깁니다. 마치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요. 그래서 노트와 펜은 늘 제 맘에 드는 것으로 구매를 하지요. 이런것들이 기록을 즐기게 하는 도구인 것은 확실합니다. 제가 지금 쓰는 볼펜과 형광펜 입니다. ^^
형광펜 색상도 너무 이뻐요.


휘발되는 지식을 잡고,
핵심 키워드만 남기고 버리고,
일상을 요약하는 습관을 가지고,
자기화시켜 그 기록을 계속 업그레이드 하다보면
성장형 인간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아래 책도 비슷한 부분이 많네요.
[나, 가정, 일, 사회] 사분면 안에서 균형잡아, 내가 원하는 8가지를 적고, 일주일, 한 달, 1년, 3년, 10년 등의 단위로 플랜을 짜서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은 한 계단 한 계단의 실천이 10만 계단의 꿈을 이룬다고 합니다.

행복을 위한 세 가지 질문,
1. 우리가 놓친 것은 무엇인가?
2. 우리는 이번 일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
3. 앞으로 어떻게 해야 지금의 상황을 바꿀 수 있는가?


남편과의 대화로 마무리 합니다. ㅎㅎ

나: 이순신 장군이 난중일기를 7년간 쓴 건 정말 대단하죠.
남편: 난 이제 옥중일기를 써야겠군.
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필체가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 https://naturalmedicine.tistory.com/m/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