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 건강 탐구 68

다이어트 약의 위험 _ 오젬픽,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매직필 Magic Pill_2024 요한 하리(1979년생) [도둑맞은 집중력]의 저자 요한하리의 책입니다. 일론머스크, 킴 카다시안, 오프라 윈프리 등 해외 유명인들이 위고비를 사용하여 살을 뺐다고 해서 많은 이들이 이 약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방시혁도 종종 거론 되는 듯) 그래서 저자도 이 다이어트 신약을 체험하게 되었지요. 그 방대한 이야기를 책을 통해 알아보세요. 비만 사회식생활이 원인이 된 병으로 매년 67만 8000명이 죽는다. 모든 사망원인 중 압도적이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한 사람의 죽음은 비극이지만 수백만의 죽음은 숫자에 불과하다." 그래서 해마다 비만으로 수많은 사람이 죽는다는 경고가 추상적으로 들렸다. 어릴 적 정크푸드와 가공식품을 주로 먹..

아이가 아픈 이유+키성장_증상과 해결책은?

엄마는 아이의 첫 번째 의사입니다_2023. 10.25 백재영(아이 셋을 키우는 23년차 한의사) 아이는 어른의 질병처럼 원인이 다양하지 않고 여러원인이 복합되어 발병하지 않습니다. 타고난 유전적 질환,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의 감염질환, 다치거나 넘어져서 발생하는 외상들을 제외한다면 아이들이 아픈 원인은 크게 "체력저하와 소화기능 문제"입니다. 감염성 질환과 외상, 선천성질환을 제외하면 아이들의 병은 ① 병명이 없거나 ② 재발하고 잘 낫지 않거나 ③ 쉽게 자주 아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④원인만 치료하면 매우 빨리 낫습니다. 빨리 낫는 이유는 어른보다 스트레스질병이 많지 않고, 어른보다 혈액이 맑고 노폐물이 없으며 혈액순환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1. 체력저하가 원인아이는 어른보다 힘..

아이 항생제처방이 걱정이라면, 한의원 감기약+상비약 쌍황련

푹 쉴 수 있는 겨울방학이 아이가 급성장할 수 있는 시기라 생각하여 (저도 겨울방학 때 확 컸던 바 있음) 한의원에서 보약이나 지어먹일까 생각이 들었어요. 제 아이는 소화기계통이 약해서 잘 못 먹고 , 많이 먹으면 체하거나 설사하거나 둘 중 하나인 아이라서요... 그래서 먹으면 먹을수록 몸이 힘들어져 면역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있었지요.조만간 한약도 지을겸, 일단 아이 콧물약을 처방받고자 집 근처에 있는 한의원에 가봤어요. 일반소아과처럼 진료보고 (+진맥) 한약으로 처방도 해주더라고요. 좋았던 점은, 바글바글한 소아과가 아니라, 넓고 쾌적한 한의원이었다는 점입니다. 한의원마다 다르겠지만, 아이위주로 특화된 한의원일수록 이런 서비스가 잘 되어있는 것 같아요. 감기증상으로 가면, ① 일단 진료 보면서(소..

mRNA 백신의 부작용 네이처 논문_mRNA 채소

네이처에 실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진 논문에 따르면(2023.12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야 할 백신이 25~30%비율로 불량 단백질을 생성하여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합니다. (+1 프레임 시프트 발생) 이 논문은 잘못 만들어진 불량 단백질 일부가 인체에 치명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모든 약이 부작용이 있지만 비율이 제법 높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 몸에 있지 말아야 할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는 건 확실히 밝혀 졌으니, 그 잘못 생성된 단백질이 몸에서 자연 제거되는지, 다른 문제를 일으키는지 추적 조사를 계속 해봐야 알겠지요.  과거의 백신은 병원체를 죽이거나 약하게 만들어서(사백신, 생백신) 인체에 투입하여, 인체가 면역훈련을 미리 하게끔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그 역시 위험..

우유때문에 악성빈혈이? 아토피가?

[잡식가족의 딜레마]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채식하는 엄마, 육식파 아빠, 그 사이에 낀 아이. 이 영화와 함께 책도 나와있어 보았습니다. 잡식가족의 돼지관찰기사랑할까, 먹을까_2018 황윤 아이가 건강하게 크기를 바라는 모든 부모들에게 → 나는 취재 과정에서, 우유 때문에 악성빈혈에 걸린 민우를 알게 됐다. "모유수유 후 이유식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우유를 먹여야 한다는 책을 보고 우유를 먹이기 시작했어요. 아이가 물 대신 우유를 먹을 정도로 많이 먹었어요. 돌 때쯤 건강검진을 했는데 철분 수치가 거의 제로에 가깝게 나왔어요. 악성빈혈이었어요. 의사 선생님이 우유를 먹이는지 물어보시더라고요. 먹인다고 했더니 '어떤 소아과에서도 아이에게 우유를 권하지 않습니다. 우유를 끊으세요.'라고 하시더라고요. 그 이야..

아무튼 비건 _ 변화를 믿는 사람들

아무튼 비건_2018 김한민 21세기 홀로코스트, 공장식 축산 2008년 개고기 반대가 27%, 2018년 개고기 반대는 39%이다.ㅍ 10년 동안 고작 10% 늘었다. 놀라운 건 20대 남성이 개고기 금지에 반대한다는 사실이다. 가축의 분뇨처리비용은 정부보조금에 의존하니, 업계가 이윤추구를 하면서 생기는 똥을 우리 세금으로 치우는 셈. 변화를 믿는 사람들 p43 사회의 지배적인 시각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가 있다. 소수의 생각이 점점 퍼져 10%라는 임계점에 도달하면, 그 의견은 어느새 주류사회의 의견이 된다는 것이다. 영국인구의 절반이 '비건식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고, 독일에서 식음료 10개당 한 개가 비건제품이다. 급기야 유럽인의 50%가 육식의 문제점을 깨닫고 의식적으로..

비건 유명인

외국엔 비건 유명인이 많습니다. 채식인구가 많아 비건 음식점, 슈퍼마켓, 의류 등 선택권이 많지요.채식, 비건을 하는 유명인을 알아볼까요? 역사적 인물붓다(석가모니)는 말할 것도 없고요..톨스토이 : 비윤리적인 동물살해를 주장하며, 죽기전까지 채식으로 살았다프란츠 카프카 : 수족관 물고기의 평화로움을 바라보다 채식주의를 결심했다.레오나르도 다빈치 : 동물을 살해하는 것을 살인처럼 생각하는 때가 올 것이다. 아인슈타인 : 1kg의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23kg의 곡물이 소비된다.소크라테스 : 전쟁의 기원은 육식에 있다.피타고라스 : 동물에 대한 박애심을 강조하며, 채식 급식의 학교 운영.플라톤 : 바른 정치는 채식생활에서 시작된다.슈바이처 :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모든 잔혹한 전통에 대해서 반대해야 한..

식물성음료 비교 (귀리 음료) _ 커피에 잘 어울리는 귀리음료는?

식물성 음료 성분비교 → 대부분 오리지널, 플레인만 작성함 (초코, 바닐라 등도 있음) → 우유가 첨가된 것들이 아님 → 침전물이 있을 수 있어 흔들어 먹어야 한다. → 유통기한이 길어 대량구매 가능 (1년 이상) → 아몬드음료는 아몬드 자체에 지방이 많아서 아몬드 2%에 물 섞은 거라 보면 된다. 비교항목에서 제외함 → “곡류나or약간의 견과류 + 대부분 물” 음료가 왜 이렇게 비쌀까?!! 좀 더 대중화되면 저렴해 지지 않을까요… → 바리스타용은 카페라떼, 티라떼 등으로 활용가능. 지방함량을 높여서 좀 더 크리미 하게 만든 것. 지방때문에(식물성 오일) 안 좋은 건 마찬가지. → 이솔라비오 : 쌀음료와 비슷하고 맛남. 하지만 달아서 라떼는 비추. 처음 오트음료 시작하는 분께 추천. → 마이너피겨스 : ..

조금씩, 천천히, 자연식물식

조금씩, 천천히, 자연식물식_2021 이의철저자는 직업병, 환경병을 판단하고 예방하는 직업환경의학 전문의다.  2018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업무관련 사망자의 39%가 뇌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한다. 원인은 유기용제, 중금속, 분진때문이 아니라 몸에 쌓인 지방 때문이라는 것. 1970년대에는 밀가루 많이 먹어도 살 안쪘다. 밀가루로 판단하면 안된다. 라면, 과자, 피자, 치킨, 짜장면 등 소위 밀가루음식이라고 불리지만, 순수밀가루가 아닌 기름과 불순물 범벅의 밀가루이기 때문에 안 좋은 것이다. 식용유(지방), 우유 및 유제품, 계란, 고기, 생선 등 동물성식품 성분과 설탕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확인해야 한다. (라면은 유탕면이 아닌 "건면, 호면(당면)이 좋고 동물성성분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 인슐린 저..

키 성장, 성 조숙증 문제 _ 나의 선택은? 영양소 도표

부모들이 아이에게 가장 신경 쓰는 것 중 하나가 키성장입니다. (물론 학업문제, 교우관계도..)(부모들이 키카 크신 분들은 별 신경을 안 쓰시겠지만)초2인데 가슴에 몽우리가 만져진다며 병원 가서 성조숙증을 위한 피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원에 줄 서서 검사를 받는다네요. 아무 문제가 없어도 검사를 받기도 합니다. 만 9세 전에 검사를 받아야 보험적용이 되기 때문이죠. (병원은 증축 중...) 매달 한 번씩 주사 맞다가 주사 끊고 나서 부작용이 없다고 의사는 장담할 수 있을까요..? 성조숙증이라고 해서 주사를 3년을 맞아도 키가 안 큰 사례도 있었고, 성조숙증이라고 했지만, 잘 자고(9시~10시에 무조건 취침) 땀 흘리는 운동 (줄넘기, 농구, 달리기 등)으로 키가 아주 큰 사례도 있었습니다. 복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