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결로가 무엇이고 왜 생기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결로는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이 차가운 물체를 만나 온도가 떨어지면, 그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입니다.
즉, 얼음물이 담긴 유리잔 표면이나 시원한 캔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집안에서 결로가 잘 발생되는 조건은
1. 집안과 밖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2. 집안의 습도가 높을수록
발생되기 쉽습니다.
종합하면,
추운 겨울날 난방과 가습기를 빵빵하게 틀고 있는 집의 창문이나 벽 온도가 낮다면 99 % 결로가 발생할 것입니다.
(*아기 목감기로 (적정습도까지 올려준다는)벤타 에어워셔를 종일 틀고 있던적이 있었는데, 집안습도가 70가까이 올라가고 창문에 결로생기고 그랬던 기억이 납니다)
1. 창문(이중창)에서 생기는 경우
창문과 바깥의 온도 차이가 큰 경우입니다.
이 온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창들을 많이 시공하는데요, 이중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중창과 바깥 창 사이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중창은 단열을 한번 더 해줘서 바깥의 냉기를 집안으로 못 들어오게 하기 위함인데, 이중창도 틈새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로가 생긴다면 이 틈새가 그 원인입니다.

위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틈새입니다.
이중창에 틈새가 있는 경우 추운 날 저기에 손을 가져다 대면 미세한 찬 바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찬 바람은 이중창과 바깥 유리 사이에 있는 공간에서 나오는 것이고, 찬 바람이 나온다는 것은 그 공간을 채우기 위해 집안의 따뜻한 공기가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질량 보존법칙이라는 자연의 법칙을 성사시키기 위해...) 그래서 바깥쪽 유리창에 이슬이 맺히는 것입니다.
대책은?

저 틈새를 막을 재료입니다. 파이프 동파 방지용 단열재를 절반 자른 모습입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이것을 창문 위, 아래 모두 설치하여 틈새를 막아 주면 됩니다.
이렇게 틈새를 이렇게 모두 막아주면 결로현상은 생기지 않습니다. 더불어 난방효과도 커집니다.
2. 벽면에서 생기는 경우
이 경우에는 사태가 심각할 수 있습니다.
벽면이 차갑다는 것인데, 그 이유로는, 벽지에 가려서 안 보이는 벽면에 틈새가 있거나 부실시공으로 단열재가 없다던지 등등의 이유로 내부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벽면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7. 일상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독서생활_독서마라톤 완주 (2) | 2024.12.24 |
---|---|
지워지는 볼펜_ 지우개똥도 없네!! (1) | 2024.06.05 |
2023 독서마라톤 _ 도서관 이용하는 방법 (1) | 2024.02.29 |
자동차 에어컨의 작동 원리 (1) | 2022.06.20 |
저공해 차량 혜택 및 확인 방법 (1)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