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간 인생 탐구

나는 가끔 너에게 이유 없는 칭찬을 주고 싶다

키다리 가로등 2025. 1. 21. 10:07
반응형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_2024 태수
(조용함은 인생의 공백이 아닌 여백)

책에 나온 글들을 메모해 봅니다. 
 
 p29
감정 한 방울 섞이지 않은 그 빼짝 마른 반응,
꽉 짠 무말랭이처럼 물기 없는 반응,
해내는 게 당연한 것이 되어, 기쁘기보단 안도감이 더 먼저 찾아왔다. 슬픈 일이었다. 세상일이란 게 축하를 받으면 작은 일도 기쁜 일이 된다. 반대로 축하받지 못하면 대단한 일도 당연한 일이 된다
 
그래서 우린 서로의 성공에 좀 더 자주 축하할 줄 아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비록 진심으로 우러나진 않더라도 소중한 사람에게만큼은 큰 박수를 보낼 줄도 알아야 한다. 축하라는 건 꼭 마라톤 결승라인과 같아서 축하받지 못한 레이스는 결코 끝나지 않기 때문이다. 숨 돌릴 자격마저 빼앗아간다. 자만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삼가기에는 너무 심각한 피해다
 
그러니 누군가를 정말로 깊이 생각한다면 그의 고생에 진심으로 성대한 축하를 보내주자. 자만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일랑 고이고이 접어 비행기로 날리고, 열심히 뛰어온 나와 내 사람들에게 자주 말해주자. 
 
"고생했다." 
"나는 네가 정말 자랑스러워."
 
모두가 즐겁게 완주했던 그날의 운동회처럼.
 

마무리

 
우리는 모두 인정에 목말라 있습니다.
반항하는 아이도, 열심히 하는 아이도 둘 다 인정받고 싶은 심리가 있는 것이죠. 어린 아이부터 어른 할 거 없이 모두가 그렇습니다. 한국 사회가 칭찬에 인색하긴 하지만, 이제 더 자주 상대방의 작은 행동에도 칭찬을 날려 보세요. 처음엔 서로가 적응이 되지 않겠지만, 곧 행복이 찾아갈 거란 것을 믿습니다. 
 
그 정도 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그 정도 하는 것에 감사하며 칭찬해 주시면,
행복+성취감+자신감에 더 나아질 수 밖에 없으니까요.

조용한 여유를 가져봅니다.
삶은 이리도 정신없고 번잡한데
그것을 소화시킬 여유,
여백의 공간이 우리에겐 더 필요하답니다.

그래야 좀 더 다정해지고
세상이 조용한 행복으로 가득차지 않겠어요?^^
 
 
 

반응형